일정 조건에 따라 투자금 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상환권과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권이 있는 주식입니다.
목표금액
100,000,000원
발행가액
8,000원
현재기업가치
9,932,480,000원
현재발행 주식수
1,241,560주
투자가능 최소수량
62주
발행예정 주식수
12,500주
청약기간
2025. 02. 03 ~ 2025. 02. 17
배정지분율
1.00%
배정일
2025. 02. 26
배정방법
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
납입일
2025. 02. 27
명의개서 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발행일
2025. 02. 28
청약증거금 예치기관
신한은행
증권 입고일
2025. 03. 24
상환청구기간
보유한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사에게 상환 요청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2028. 02. 28
~
2032. 02. 28
전환청구기간
회사에게 보유한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 요청할 수 있는 기간입니다.
2028. 02. 28
~
2032. 02. 28
상환금리
연 단리 7%
전환조건
우선주식 1주당 회사가 제시한 비율을 적용한 수만큼의 보통주식으로 전환됩니다.
우선주 1주당 보통주 1주
최저배당이율
주식의 액면가격 또는 발행가격 기준으로 회사가 제시한 이율을 적용한 금액을 우선 배당 받습니다.
액면금액의 2%
1주당 전환가액
보통주로 전환할 시에 적용하는 주식의 가격입니다.
8,000원
비고
· 상환권이 부여된 주식으로, 투자자는 발행일로부터 3년 후 이익잉여금 범위 내에서 연 단리 7%의 이자율로 상환 청구 가능. · 기업가치(Pre-money Valuation) : 9,932,480,000원 ( ☞기업가치 산정 근거 바로 가기 ) · 목표금액: 50,000,000원 → 100,000,000원('25.02.10.)
· 배정방법(목표금액 내 선착순 배정)에 따라 미배정 또는 일부 배정이 될 수 있으며, 배정되지 않은 청약금은 투자예치금 계좌로 환불(2025.02.25)됩니다.
투자포인트
POINT 1부작용 낮고 반복 투여 주사가 불필요한 합성생물학 기반 유전자재조합 치료제 기술 개발 기업
POINT 2비임상 단계 기술이전 및 가축 대상 의약품 개발로 수익성 확보(’28년 IPO 목표로 IBK증권 주관사 계약 체결)
POINT 3대한뉴팜(주)과의 전략적 제휴(지분투자, 공동연구, 마케팅)를 통해 가축 대상의 항생제 대체제 본격 생산 및 판매 (추후 대상 품목 확대 예정)
·소득공제 혜택은 소득의 유형(근로소득, 사업소득),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023년 1월 1일자 소득세법 개정으로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이 조정되었습니다.
투자핵심노트
GRAS 미생물 기반 단백질 신약 eLBPs 및 슈퍼 항생제 개발로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갑니다.
2020년 10월 설립한 ㈜리신바이오는 높은 수준의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바탕으로 항생제 내성(AntiMicrobial Resistance, AMR) 감염병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재조합 엔도라이신 플랫폼과 eLBPs 플랫폼의 상호 유기적인 합성생물학 기반 연구 개발을 통해 슈퍼 박테리아 감염 치료제를 연구개발하고 있는 바이오 벤처 기업입니다.
현재 동물 및 사람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세균들을 타겟으로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 물질) strains DDS(Drug Delivery System,약물이 체내에 전달되는 시스템) 기반 경구용 장내 세균성 감염 치료제 eLBPs와 Endolysin 기반 IV용 슈퍼 박테리아 감염 치료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류는 1970년대 중반 이후 항생제 내성균 처치를 위한 신규 슈퍼 항생제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며 2020년부터 몇 년간 지속된 코로나19 펜데믹을 통해 감염병의 위험성을 절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꼽은 ‘인류가 직면한 세계 10대 공중보건 위협’ 중 하나인 AMR은 세균이 균을 억제하거나 죽이기 위해 만들어진 약물 등에 노출됐음에도 죽지 않고 살아남는다고 해서 ‘제2의 암’이라고도 불립니다.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나 기생충 등이 더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아 감염 치료가 불가능해지고 심각할 경우 질병 확산, 사망자 급증 등의 문제로 확산할 위험이 있습니다. 2016년 영국 ‘Welcome Trust Foundation’의 보고서 「The review on antimicrobial resistance」는 2050년, 전 세계가 감염병으로 인해 암을 뛰어 넘는 1,000만 명의 사망자와 11경 원에 이르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기존 화학 합성 항생제들이 갖는 작용기작과는 전혀 다른 작용기작의 새로운 항생제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1900년 이후 FDA로부터 승인된 항생제 총 164개 중 최근 35년간 신규 타겟으로 승인된 항생제는 단 1개(2012년 ATP 합성효소 저해제 Bedaquiline 결핵 감염에 대해 FDA 승인 획득)뿐입니다. 이에 따라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빅파마들의 항생제 개발을 향한 경쟁이 뜨겁게 펼쳐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예로 2013년 항생제 개발 전문회사인 트리어스(Trius Therapeutics)와 옵티머(OptimerPharmaceuticals)를 큐비스트(Cubist)가 인수 하였고, 2014년에는 빅파마인 악타비스(Actavis, 현재 Allergan)가 포레스트랩(Forest Labs)과 듀라타(DurataTherapeutics)를 인수, 2015년 1월에는 글로벌 제약사 머크(Merck & Co)가 항생제 개발 전문회사인 큐비스트를 95억 달러에 인수하였습니다.
리신바이오는 기존 항생제의 Unmet Needs(미충족 욕구- 내성균 등장, 부작용 및 독성, 낮은 치료율, 재발률 등) 해결을 위한 글로벌 ‘차세대 항생제 개발 현황’에 주목하고 재조합 엔도라이신 플랫폼과 eLBPs 플랫폼의 상호 유기적인 합성생물학 기반 연구를 통해 슈퍼 박테리아 감염 치료제를 개발해오고 있습니다.
*플랫폼별 파이프라인
리신바이오는 합성 생물학 기반 단백질 신약 개발 기술(eLBPs)과 세계 최초 eLBP 기반 경구용 항생제 개발 기술(CMic) 등 확장성 높은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합성 생물학 기반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기술을 통해 다재내성균과 그람 음성균 처치용 항생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eLBPs 플랫폼 기술 영역에서는 가금티푸스를 포함한 가축용 항생제 대체제 개발과 전문약이 없는 난치성 병원균 치료제, GLP-1 기반 항비만, 항당뇨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❶ eLBPs Tech
리신바이오가 합성 생물학 기반 단백질 신약 기술로 현재 개발 중인 적응증은 CDI, 가금티푸스, 비만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CDI(장내 질병 관여균) 경우, 장내 세균 C. difficile에 대한 기존 치료법인 메트로니다졸, 반코마이신 등 항생제 투약은 고독성(hypervirulent) 균주에 의한 난치성 중증 CDI(장내 질병 관여균) 치료 및 CDI의 재발 치료(재발 반복)가 어려워 2022년 12월,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레비요타(스위스 페링제약, 분변 이식 기술 기반)가 미국 FDA 승인을 받았습니다. 이후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은 급성장하고 있으나 현재 CDI, 궤양성대장염 등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프로바이오틱스 투여 및 대변 이식 등 숙주의 미생물을 조절하는 일부 기술이 적용되어 심각한 부작용 유발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박테리오파지 유래 리신단백질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인 국내·외 경쟁업체들의 경우 리신단백질을 재조합 균주로부터 발현시켜 분리·정제하고 이를 주사제 혹은 신체에 도포하는 외형제 형태의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리신바이오 역시 동일한 기술로서 주사제, 외형제 형태의 단백질 기반 의약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장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다양한 병원균들의 치료를 위한 경구제 형태의 치료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리신바이오의 가장 큰 차별성이라 할 수 있는, 타겟하는 세균에 대응하는 박테리오파지 유래 lytic 효소인 재조합 리신단백질을 장내에서 유익한 활동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의 표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혹은 분비할 수 있게 제작하는 기술이며 최종 제작된 재조합 균주를 직접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는 가축 및 인간의 장내 세균성 감염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living medicine으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리신바이오가 연구개발 중인 CDI(장내 질병 관여균) 치료제 ‘LB-CDL19’는 eLBPs(Engineered Live Biotherapeutics Products) 기반 정확한 작용기전을 갖는 경구용 치료제입니다. eLBPs는 반복적 투약 및 주사가 불필요한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고도화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기존 치료제의 부작용은 물론 환자의 비용 절감 또한 현저하게 낮출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동물 대상의 가금티푸스 치료제 ‘LB-SGL’은 S. gallinarum 처치를 위한 항생제 대체제로, S. gallinarum을 감염시킨 실험군을 대상으로 Endolysin secretion system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기존 항생제 처리 실험군과 유사한 생존율, 증체량, 세균수 감소, 장기 크기 불변 등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개발 성과에 힘입어 국내 상장 제약회사인 대한뉴팜㈜과 지분투자 및 공동연구를 포함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였습니다(2024년 12월). 대한뉴팜과의 제휴를 통해 1차로 리신바이오의 연구 성과 중 가금티푸스(조류) 예방용 항생제 대체제를 생산하게 되었으며(공장 확보), 추후 돼지와 소로 품목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생산된 제품은 대한뉴팜㈜을 통해 국내 시장에 판매됩니다(2025년 예상 매출 2억 5천만원). 또한 싱가포르 제약회사인 자이로닉스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2024년 11월) 리신바이오의 eLBP 기반의 축산용 항생제 대체제의 공동연구와 마케팅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현재 자이로닉스 측에서 리신바이오의 가금티푸스 제품 생산 관련하여 멕스코의 Bachoco사 및 브라질 BRF사에 제안한 상태로 성사될 경우 해외 진출의 교두보가 마련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체 대상의 비만치료제 ‘LB-OTG05’는 당사 플랫폼기술 eLBPsystem을 적용, 특허분쟁이 없는 GLP-1 유사체인 Exenatide를 발현하는 GRAS 미생물을 개발하여 경구용 비만치료제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국내 제약사와의 차별성이 있습니다. 쥐 대상의 실험 결과, 세포 발현 후 12주차에 약 11% 체중 감소 및 12% 혈당 감소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❷ CMic Tech
CMic(맞춤형 엔도라이신 선별 기술)을 적용하여 엔도라이신 기반 IV용 슈퍼박테리아 감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신바이오가 현재 CMic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 개발 중인 치료제는 ‘LB-SAL09’와 ‘LB-ECL04’가 있습니다.
‘LB-SAL09’는 화농성 염증, 중이염, 폐렴, 수술 후 창상 감염,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인 S. aureus(황색포도상균)을 치료하는 기존 항생제의 내성균 MRSA, VRSA 감염증의 치료제입니다. MRSA는 메치실린계저항성 세균 황색포도상구균으로 개방된 상처가 있거나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의 감염 위험성이 높습니다. 또한 VRSA는 반코마이신저항성 세균 황색포도상구균으로 당뇨나 신장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있을 때 위험이 높으며 중심정맥관 등을 보유하고 있을 때 반코마이신 투여 중인 사람들에게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매년 수만명의 MRSA 균혈증 환자가 발생하고 약 3,000명 이상이 사망할 정도로 매우 위험합니다. 또한 S. aureus은 아토피피부 환자에게 높은 비율로 관찰되고 있는 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제 실험 결과 S. aureus 전신감염 mouse model을 이용한 LB-SAL09의 유효성을 확인하였고, 도메인 셔플링 신규 엔도라이신 확보 실험에서도 Recombinant PCR을 통한 신규 Endolysin(LB-SAL00) 유전자를 확보하였습니다. 주사제로 개발하기 위한 세포 독성과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 실험에서도 모두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환자로부터 분리한 항생제 내성 임상분리주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 결과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에 모두 효과가 있었습니다.
‘LB-ECL04’는 그람 음성균 감염증 치료제로, 대표 다재 내성 병원균(MDR) 6가지 중 ‘다제 내성 아시네토바우마니 감염증’은 카바페넴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플로로퀴놀론계 항생제 내성균으로 제4급 법정감염병으로 분류되며, 전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고 특히 국내 슈퍼박테리아 사망 원인 중 1위에 해당될 정도로 점차 그 심각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그람 음성균’은 ‘그람 양성균’과 달리 내독소(Endotoxin)로 작용하는 세포 외막(outer membrane)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람 음성균의 외막을 통과할 수 있고, 그람 음성균 사멸 시 방출하는 내독소를 중화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한 ‘LB-ECL04’는 장출혈성 대장균(EHEC) 감염증 치료제로 개발 중입니다. EHEC는 독소를 생성하는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용혈성 요독증후군(HUS)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키는데 5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HUS 진행 시 치명률이 매우 높습니다. EHEC 처지를 위한 eLBP system 개발 실험 결과, Endolysin secretion system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기존 항생제 섭취 실험군 이상의 생존율 확인하였고, 분변 내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체중 증가 및 간/비장의 중량 불변 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리신바이오의 endolysin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한 신규 재조합 endoysin 연구 실험 결과, 개발 물질 모두 유해균에는 효과를 보이지만, 장내 다른 유익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주사제로 개발하기 위한 세포 독성과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 실험에서도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신바이오는 원천 기술에 대한 특허 보호, 파이프라인별 지식재산권 확보로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현재까지 특허등록 3건, 도입 특허 1건, PCT 출원 1건, 특허출원 2건).
이와 함께 연구개발 능력을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의 국책과제 3개에(TIPS, BIG3, TIPS 창업화사업)에 선정되어 각각 5억원, 5.7억원, 0.7억원을 지원받고 연구과제를 진행하였으며(과제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2023년 6월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으로부터 ‘성장공유형 자금’을 투자 유치에 성공하였습니다. ‘성장공유형 자금’은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성을 보유한 유망 중소벤처 기업 중 기업공개(IPO)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를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현재 파이프라인별 효능 및 안정성을 확인한 리드물질을 확보한 단계로서 이번 중진공 성장공유형 자금 투자 유치를 통해 내년 2건 이상의 전임상 시험을 차질없이 준비할 계획입니다. 또한 국내 (TCB)인 NICE평가정보㈜의 기술 평가 심사에서 ‘합성생물학 기반 경구용단백질 신약 개발 기술’에 대하여 T-5 우수 등급을 받아 ‘2023년 기술평가 우수기업’으로 인증 받았으며, 한국기술신용평가㈜의 기술 평가 심사에서도 ‘합성생물학 기반 경구용단백질 신약 개발 기술’에 대하여 T-5 우수 등급을 받아 ‘2024년 기술평가 우수기업’으로 인증 받았습니다.
(‘사업성과’ 참조).
리신바이오의 수익창출 전략은, 스타트업으로서 기초연구부터 의약품 승인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는 전통적인 제약 기업과 달리 비임상 단계부터 국내 제약사 또는 글로벌 빅파마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이 중 eLBPs 치료제의 기술 이전은 eLBPs의 인허가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해외기업을 대상으로 접촉할 계획입니다.
2018년, 인트론바이오-스위스 로이반트 간 SAL200(엔도라이신) 기술이전 계약 시 최대 마일스톤은 1조원, 계약금(Upfront)은 1,000만 달러였습니다. 또한 최근의 사례로, 신약 개발 바이오 기업인 디앤디파마텍이 비만 치료제와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등 신약 파이프라인의 경쟁력을 앞세워 시가총액 4,380억으로 코스닥에 기술특례상장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디앤디파마텍의 주요 파이프라인 중의 하나인 비만치료제는 임상시험계획(IND) 준비와 후보물질 도출 단계에서 미국의 멧세라에 기술 이전,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제는 미국에서의 임상 1상을 완료하고 중국 선전살루브리스제약으로 기술이전하였습니다.
리신바이오는 eLBPs와 CMic 파이프라인의 단계별 성과를 바탕으로 2028년 기술 이전 성과에 따른 IPO 추진을 위해 IBK투자증권㈜과 코스닥 상장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2023년 5월). 이를 통해 IBK투자증권㈜은 대표주관회사로서 리신바이오의 코스닥 시장 상장 준비를 위해 경영 관리, 재무 회계 및 세무 관리,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한 상장 요건 충족 여부 등에 대한 점검 및 자문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이전까지의 사업구조가 약한 R&D 회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 연구과제 수행 외에 인체용 신규 항생제 개발과 더불어 빠른 시장 진입이 가능한 가축대상 항생제 대체제(2025년부터 생산 및 판매 예정), 보조사료(미생물제), 유기태, 당사 플랫폼 기반 기능성 화장품 등의 개발 및 사업화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기술 이전 성과에 따른 IPO 추진 전까지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확보해나갈 계획입니다.
리신바이오는 차세대 표적 항생제를 개발하여 기존 항생제 Unmet Needs 시장에서 플랫폼 기반 First-in-class 신약 개발 전문기업으로 성장해나갈 것입니다.
비전 및 목표
비전
플랫폼 기반 First-in-class 신약개발 전문기업
Creative Plaform
Unmet Needs
합성 생물학 기반 단백질 신약 개발 기술
세계 최초 eLBP 기반 경구용 항생제 개발 기술
확장성 높은 플랫폼 기술 보유
합성 생물학 기반 재조합 단백질 생산기술
- 다재내성균 / 그람 음성균 처치용 항생제 시장 공략
eLBP 플랫폼 기술
- 가축용 항생제 대체제 개발(가금티푸스 외)
- 전문약이 없는 난치성 병원균 치료제 시장 공략
- GLP-1 기반 항비만, 항당뇨 치료제 개발
목표
차세대 표적 항생제 개발로
기존 항생제 Unmet Needs(미충족 수요) 시장 GLOBAL 1위 기업
기존 항생제
목표하는 병원성 세균 뿐만 아니라 유익균까지 공격
유익균 공격에 따른 부작용 및 독성 발생
내성균 발생 심각
→
차세대 표적 항생제
기존 항생제와는 다른 새로운 MOA
선택적 타켓(병원균) 공격 가능
내성균에도 효과적인 살균 작용
eLBP 기반 경구용 항생제 개발 가능
기존 항생제 Unmet Needs 문제 해결
*Unmet Needs : 내성균 등장, 부작용 및 독성, 낮은 치료율, 높은 재발률 등
*Unmet Needs : 내성균 등장, 부작용 및 독성, 낮은 치료율, 높은 재발률 등
조직 소개
조직도
경영진
연구인력
성 명
직 위
학 력
주요경력
담당업무
서민호
팀장
한국외대 생명공학(학사)
한국외대 생명공학(석사)
• 크린시스템스 코리아㈜ 사원 (’08~’11)
• ㈜LSM 개발팀장(’12~’20)
정제공정/발효공정
채숙희
연구원
서울대 농생물학(학사)
서울대 농생물학(석사)
• ㈜대웅제약(’95~’97)
동물세포배양/in vitro 유효성 검증
안태규
연구원
강원대 생명공학(학사)
강원대 생명공학(석사)
• ㈜중겸 연구원(’20~’21)
• 아이진㈜ 연구원(’21~’22)
DNA &protein work
박선일
연구원
안동대 생물학(학사)
안동대 생물학(석사)
-
박테리오파지
스크리닝
전다혜
연구원
충남대 미생물분자생명과학 (학사)
-
DNA & protein work
사업 영역
의학 및 약학 연구 개발
동물 및 사람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세균들을 타겟으로 ❶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strains DDS 기반 경구용 장내 세균성 감염 치료제 eLBPs와 ❷ Endolysin 기반 IV용 슈퍼 박테리아 감염 치료제 연구 개발
* 출처 : ‘The review on antimicrobial resistance’, Jim O’Neill, 2016
② 새로운 작용기작을 갖는 항생제 개발 필요
기존 화학 합성 항생제들의 경우 새로운 제품 출시 이후 내성균 출현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음
기존 화학 합성 항생제들이 갖는 작용기작과는 전혀 다른 작용기작의 새로운 항생제가 필요한 실정임
Unmet Needs 충족 가능한 차세대 항생제 개발 현황
① 항생제 개발 현황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기존 항생제의 효과 감소로 인류 생명이 위협받을 것으로 예측
1900년 이후 FDA으로부터 승인된 항생제 총 164개이며, 이 중 최근 35년간 신규 타겟으로 승인된 항생제는 단 1개뿐임.
- 2012년 ATP 합성효소 저해제 Bedaquiline 결핵 감염에 대한 FDA 승인 획득
<1900∼2019년 FDA 항생제 승인 현황>
② 기존 항생제 내성균 치료를 위한 항생제 개발 현황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에 의한 사망자가 발생(EU 25,000명, USA 23,000명)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균 치료를 위한 개발은 많은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음
<약제 내성균 치료 항생제 개발 현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 공동체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고세균 등 다양한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음
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경쟁사 R&D 현황
※ 유전자 조작 생균 의약품(eLBPs)
‘살아있는 의약품’이라고도 불리며, 의약품 분비 미생물 착상 시 반복적 투약 및 주사 불필요
→합성생물학의 의학 혁신 사례에 속하는 기술임
(출처: ‘합성생물학의 미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② 전 세계 eLBPs 임상 현황
※ 리신바이오와 유사한 플랫폼 기술로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현황
* 출처: Development of synthetic biotics as treatment for human diseases, 2021
③ 국내 제약 바이오기업의 비임상 단계 기술 이전 현황(2022년)
2022년 제약바이오 기업(비임상∼1상) 라이센스 아웃 최대 마일스톤 현황
* 출처: ‘바이오(신약개발 관련) Deal 정리’, 국가신약개발사업단, 2023
2022년 제약바이오 기업(비임상∼1상) 라이센스 아웃 계약금 현황(공개 8건)
* 출처: ‘바이오(신약개발 관련) Deal 정리’, 국가신약개발사업단, 2023
④ 국가별 유전자 재조합 생균 의약품 인허가 동향
미국 FDA
2016년 ‘Early Clinical Trials with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가이드라인 개정안 제정
유전자 물질을 의도적으로 첨가하거나 유전자의 결실, 변형을 통해 유전자 변형 미생물로 구성된 생물학적 치료제는 Recombinant Live Biotherapeutic Products(recLBPs)로 명명
추가적인 FDA의 지침을 얻도록 하고 있음
* 출처: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의약품의 규제동향’, 배진우, 2020
유럽 EMA
2018년 10월, 유럽의약품품질위원회(EDQM, European Directorate for the Quality of medicine)에서 유럽약전(EP, European Pharmacopoeia) 9.7에 ‘LBP 관련 품질관리 및 시험법’을 추가
임상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LBP 개발 기업들을 포함한 산학연으로 구성된 협의회를 구성하여 LBP 임상시험 및 인허가 규제 확립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업
* 출처: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의약품의 규제동향’, 배진우, 2020
국내 식약처
2022년 4월, ‘생균치료제의 임상시험 시 품질 가이드라인’ 제정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제거 등을 위해 유전적으로 변형된 미생물로 구성된 재조합 LBP도 생균치료제에 포함할 수 있다”고 규정
단, 치료의 효과를 위해 유전자 조작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LBP의 경우 유전자 치료제의 심사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고 규정
2022년 12월, 생균치료제의 정의를 현행화하여 개정하기 위한 의견조회용 ‘생균치료제의 임상시험 시 품질 가이드라인’ 민원안내서 발행
① eLBPs(Engineered Live Biotherapeutics Products) 기술
- 유전자 재조합 기반 생균 치료제
유전자 조작 생균의약품(eLBPs)
‘살아있는 의약품’이라고 불리며
의약품 분비 미생물 착상 시 반복적 투약 및 주사가 불필요하고
합성생물학의 의학 혁신 사례에 속하는 기술임
(출처: ‘합성생물학의 미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2022년 12월, 세계 최초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레비요타(스위스 페링제약, 분변 이식 기술 기반)가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이후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은 급성장하고 있으나 현재 CDI, 궤양성대장염 등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는 프로바이오틱스 투여 및 대변 이식 등 숙주의 미생물을 조절하는 일부 기술이 적용되어 심각한 부작용 유발 가능성이 있음
(출처: ‘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2)
E. coli Nissle 1917, B. subtilis 등을 생균치료제로 형질 전환하여 단백질 신약 물질을 세포 표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세포 외 분비하도록 제작하여 부작용 해결 및 치료 효과 개선
- 세포 표면 발현 시스템 개발 Know-how 확보
- 세포 외 분비 발현 시스템 개발 Know-how 확보
※ 리신바이오 기술 vs 기존 기술
② CMic-LB(엔도라이신) 기술
- 유전자 재조합 엔도라이신
기존 항생제의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엔도라이신 단백질을 이용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엔도라이신을 재조합 균주로부터 발현시켜 분리·정제하고 이를 주사제 혹은 신체에 도포하는 외형제 형태의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엔도라이신 단백질 vs 기존 항생제
개발 내용
개발 방향
엔도라이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腸)내 병원성 세균 처치를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의 경구용 eLBPs (Engineered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생균치료제 및 주사제(IV) 개발
※ eLBPs(Engineered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유전자를 의도적으로 삽입하거나 결실, 변형을 통해 조작된 미생물로 구성된 생물학적 치료제
핵심기술
1. eLBPs 기술
① eLBPs이란
장내 세균성 감염 치료 경구용 단백질 신약으로 장내에서 유익한 활동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인 E. coli Nissle 1917, B. subtilis 등에 목적 유전자를 도입하여 엔도라이신 등 단백질 신약 물질을 세포 표면에 디스플레이(display) 하거나 혹은 세포 외 분비(secretion) 할 수 있게 제작하는 기술 적용
→ 반복적 투약 및 주사가 불필요한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고도화 기술로서 환자의 비용 절감은 물론 기존 치료제의 부작용 또한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
엔도라이신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고 장내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는 경구용 치료제 개발
- 인체 대상 경구용 eLBPs 개발
② 보유 기술
세포 표면 발현 시스템에 대한 개발 노하우 확보
- 목적하는 단백질을 미생물 세포 표면에 발현시키는 기술 보유
세포 외 분비 발현 시스템 개발 노하우 확보
- 발명 명칭: ‘엔도라이신을 생산하는 형질전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③ eLBPs R&D 현황
• GRAS strain E. coli Nissle 1917을 활용한 세포 표면 발현기술 확립
❶ 세포표면 발현 설계도
❷ 세포표면에 발현된 엔도라이신의 항균 활성(좌측: 샘플 주위에 clean zone 형성)
❸ 세포표면 발현 확인(엔도라이신에 형광물질 도포 - 우측 노란색)
❹ UV 이용세포 엔도라이신 표면 발현 확인
• GRAS strain B. subtilis 를 활용한 세포 외 분비 발현 기술 확립
* 현재 B. subtilis, E. coli Nissle1917 등에서 세포 외 분비 효율이 높은 signal peptide library 구축 완료
2. CMic-LB Technology (맞춤형 엔도라이신 선별 기술)
특정 도메인(Domain)간의 융합을 통한 고활성 엔도라이신 확보
AMP(항균활성 펩타이드) 융합을 통한 그람 음성균외막(OM) 효율적 투과
타겟 세균 선택적 공격
기존 항생제와는 다른 작용기작으로 내성균에 대한 효과적 사멸 효과
타겟세균 특이적 엔도라이신 유전자 교체만으로 새로운 파이프라인 확보 가능
개발 파이프라인
eLBPs 기술: eLBPs기반 CDI Lead Compound 선발, 가금티푸스 항생제 대체제 생산
CMic 기술: 유전자 재조합 엔도라이신 Lead Compound 최적화, PILOT 생산 SOP 확립
※ 용어 정의
적응증 : 어떠한 약제나 수술 등에 의해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
CMC(Chemical, Manufacturing and Control) : 의약품을 만드는 공정 개발과 품질 관리 확립 단계
• 장내 다른 세균(유익균 포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목표하는 C.difficile을 사멸시키는 실험 결과
실험 2
• 시간대별 세균수 감소
(LB-CDL19가 가장 효과 좋음)
• ph와 온도 변화에 따른 구조
실험 3
C. difficile을 타겟하는엔도라이신(LB-CDL19)의 E. coli Nissle1917 세포표면 발현 확인 및 Galleria mellonella infection model을 통한 유효성 확인
세포 표면 발현이 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엔도라이신에 형광물질을 입혀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 세포 표면 발현 확인
Galleria mellonella infection model을 이용한 LB-CDL19의 유효성 확인
(좌측) 세균 감염후 당사 개발 물질 미처리로 부채명나방유충 사망
(우측) 세균 감염후 당사 개발 물질 경구 투입 후 부채명나방유충 생존
3. Anti-Obesity Drug(비만치료제)
① 개발 필요성
〔비만시장〕
세계 최대 비만 치료 시장인 미국은 비만 유병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치료비용 발생 등으로 사회적 문제
- 2022년 기준, 미국 의료시스템 부담비용 연간 1730억$
- IQVIA는 2035년 미국 성인 비만율이 55%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비만 치료 시장 최대 성장 기대
전 세계 비만 시장 예측 (ref. IQVIA2024)
- 2024년~2028년: 연 24~27% 성장하여 총 212% 증가 예상
전 세계 비만 시장 예측 (ref. 골드만 삭스등 재인용)
- 2030년경에는 고혈압 치료제 시장에 버금가는 1,000억$(136조원) 규모로 성장 예측
〔비만치료제 개발현황〕
여러 비만치료제에서 부작용 발생으로 인한 시장 퇴출이 반복되면서 안전하고 장기간 투여가 가능한 약물에 대한 미충족수요가 높은 상황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GLP-1) 비만치료제는 기존 비만 치료제 시장을 급속도로 대체
* FDA 승인 비만 치료제(ref. www.verywellhealth.com)
GLP-1 작용기전
❶ 인슐린 분비 증가
혈당 수치가 상승 →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 증가 → 혈당 저하
❷ 글루카곤 억제
췌장에서 글루카곤의 분비를 억제 → 간에서 포도당 생성 감소 → 혈당 수치 안정
❸ 식욕 억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감소, 포만감 증가 → 음식 섭취량이 감소, 체중 감소
❹ 위 배출 지연
위 배출 속도를 늦추어 장에서의 소화 시간을 연장 → 이로 인해 식사 후 오랜 시간 동안 포만감
※ 단점
혈중 반감기 2분 미만 → 이를 극복하기 위해 GLP-1 유사체 개발 및 상품화
다양한 체중 감량 수단의 체중 변화(%) 비교 (ref. Barbieri. 2023)
② 개발 현황
〔국내 제약사와의 차별 포인트〕
당사 플랫폼기술 eLBPsystem을 적용하여 GLP-1 유사체를 발현하는 GRAS 미생물을 개발
경구용 비만치료제로서 접근
〔국내 제약사의 항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
실험 1
세포 발현
실험 2
<12주차 체중 변화>
Mouse weight after yeast treatment on Day 84 (12 weeks)
<12주차 혈당 변화>
Fasting glucose level after yeast treatment on Day 84 (12 weeks)
그람 양성균과 달리 내독소(Endotoxin)로 작용하는 세포 외막(outer membrane) 존재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모식도>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남에 따라 기존 항생제 개발 방법은 한계가 있으며 새로운 전략 필요
② 개발 현황
(Target strain: MDR-GNB)E. coli Bacteriophage 유래 endolysin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한 신규 재조합 endoysin 개발 진행
리신바이오만의 신규 endolysin 선별
*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세포벽 차이
리신바이오 개발 물질의 유해균과 유익균 적용 결과
리신바이오의 개발 물질은 3종의 유해균에 효과를 보임 / 장내 다른 세균(유익균 포함)에는 영향을 미지치 않음
실험 1
목적하는 유해세균(E. coli strains, A. baumannii, P. aerugonosa)에만 항균 활성이 있고, 유익균 및 다른 세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 데이터 확인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olysin LB-ECL04. Antibacterial activity of LB-ECL04(1~4µM) against E. coli strains, A. baumannii, P. aerugonosa, K. pnemoniae, S. typhimurium, S. aureus, L. lactics, L. casei, L. acidophilus and L. plantarum in 20 mM PBS buffer (pH 7.5) for 1h. PBSbuffer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0uM). Dotted line denotes the detection limit.
(엔도리신 LB-ECL04의 항균 활성 실험 : E. coli strains , A. baumannii, P. aerugonosa, K. pnemoniae, S. typhimurium, S. aureus, L. lactics, L. casei, L. acidophilus and L. plantarum 등 유해세균의 대장균 균주에 대한 LB-ECL04 (1~4 µM)의 항균 활성 실험을 위해 20 mM PBS 완충액(pH 7.5)에 1시간 동안 PBS 완충액을 음성 대조군(0uM)으로 사용/점선은 검출 한계를 나타냄)
주사제로 개발하기 위한 세포 독성(좌측)과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우측) 실험
- 모두 무해한 것으로 나타남
Cytotoxicity assay of LB-ECL04 in a Huh7 cell line. Cells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B-ECL04 for 24hr
(Huh7 세포주에서 LB-ECL04의 세포독성 분석, 세포를 상이한 농도의 LB-ECL04와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
Hemolytic activity of LB-ECL04. RBCs were incubated with PBS or LB-ECL04 at 37℃ for 1 h, and hemolysi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supernatant at 570 nm. 0.1% of Triton X-100 was used as the hemolysis control agent.
(LB-ECL04의 용혈능력에서, RBCs는 37℃에서 1시간 동안 PBS 또는 LB-ECL04와 함께 배양, 용혈은 570 nm에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측정, 용혈조절제로 Triton X-100을 0.1% 사용)
내성균에 대한 농도별 항균 활성도 체크
- 좌측 : 고농도에서 높은 활성도 보임
- 우측: 시간대별 세균수 체크 (1분 후 세균 전부 사멸)
Antibacterial activitie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B-ECL04(0.03, 0.06, 0.125, 0.25, 0.5or 1µM) against A. baumannii CCARM12001
(A. baumannii CCARM12001에 대한 LB-ECL04 농도별 항균활성)
Decrease in bacterial viability after the addition of LB-ECL04(1.0µM) at different time lengths.
(다른 시간대에서 LB-ECL04 (1.0 µ M) 첨가 후 세균 생존율 감소)
• 온도 변화에 따른 세균 변화
Decrease in bacterial viability after the addition of LB-ECL04(1.0µM) at different temperature.
(다른 온도에서 LB-ECL04 (1.0 µ M) 첨가 후 세균 생존율 감소)
↓
Negative control(음성 대조군): 개발물질 미처리로 세균 생존
개발물질 처리시 60도 이상에도 세균 사멸 → 사람의 체온은 약 36.5도로 주사제 개발에 문제 없음
• 소금 농도에 따른 세균 변화
Antibacterial activitie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Cl(100, 200, 300, 400, 500 or 1,000mM) against A. baumannii CCARM12001
(A. baumannii CCARM12001에 대한 다양한 농도의 NaCl의 항균 활성)
↓
소금의 양이 고농도인 경우에는 개발 물질이 변형되어 세균 증식하나, 인체의 소금농도는 300보다 한참 저농도임
내성균주(E. coli, A. baumanni)에 대한 효과 용량 실험 결과 데이터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of LB-ECL04 against E. coli strains and A. baumannii strains
(대장균 균주와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 균주에 대한 LB-ECL04의 최소억제농도 및 최소살균농도)
실험 2
〔실험군 편성〕(Table) Experimental groups of Acinetobacter baumannii infected C57BL/6 mouse model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감염 실험군 C57BL/6 마우스 모델)
1 A bacterial cell suspension of A. baumannii NMS 1542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t a dose of 7×107 CFU/200 μL per mouse as a single treatment
(A. 바우마니 NMS 1542의 박테리아 세포 현탁액을 단일 치료제로서 마우스당 7×107 CFU/200 μL의 용량으로 복강 내 투여함)
2 Treatment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4 hours after the infection of A. baumannii. The novel recombinant protein drug, provided by LysinBio Corp. (Korea), was administered at high (2 mg/100 μL/mice, Infected + High-dose drug group) or low (1 mg/100 μL/mice, Infected + Low-dose drug group) doses as a single treatment.
(A. 바우마니 감염 4시간 후에 피하로 치료를 시행 - 리신바이오에서 제공한 새로운 재조합 단백질 약물을 고용량(2mg/100μL/감염된 고용량 약물 그룹) 또는 저용량(1mg/100μL/감염된 저용량 약물그룹)으로 투여
〔평가항목〕
생존율 평가
장기 내 A. baumannii 생균수 정량 평가
- 간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 비장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 신장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 폐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❶ 생존율 평가 (Survival rates in a mouse infection model of A. baumannii)
❷ 장기 내 A. baumannii 생균수 정량 평가
<간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log CFU/Liver g in a mouse infection model of A. baumannii
1 Viable counts of A. baumannii in the liver, measured either at the point of death or upon euthanasia at the end o fthe experiment were depicted.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error.
(사망 시점 또는 실험 종료 후 안락사 시 측정된 간 내 A.바우마니의 생존 가능한 수/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현됨)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indic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determin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P<0.05).
(서로 다른 위첨자는 분산분석을 통해 결정된 통계적 차이를 나타냄)
<비장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log CFU/Spleen g in a mouse infection model of A. baumannii
1 Viable counts of A. baumannii in the spleen, measured either at the point of death or upon euthanasia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depicted. Data were expressed as mean±standard error.
(사망 시점 또는 실험 종료 후 안락사 시 측정된 비장 내 A.바우마니의 생존 가능한 수/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현됨)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indic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determin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P<0.05).
(서로 다른 위첨자는 분산분석을 통해 결정된 통계적 차이를 나타냄)
<신장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log CFU/Kidney g in a mouse infection model of A. baumannii
1 Viable counts of A. baumannii in the kidney, measured either at the point of death or upon euthanasia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depicted.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error.
(사망 시점 또는 실험 종료 후 안락사 시 측정된 신장 내 A.바우마니의 생존 가능한 수/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현됨)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indic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determin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P<0.05).
(서로 다른 위첨자는 분산분석을 통해 결정된 통계적 차이를 나타냄)
<폐 내 A. baumannii 정량 평가>
log CFU/Lung g in a mouse infection model of A. baumannii
1 Viable counts of A. baumannii in the lung, measured either at the point of death or upon euthanasia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depicted.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error.
(사망 시점 또는 실험 종료 후 안락사 시 측정된 폐 내 A.바우마니의 생존 가능한 수/ 데이터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현됨) Different superscript letters indic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determin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P<0.05).
(서로 다른 위첨자는 분산분석을 통해 결정된 통계적 차이를 나타냄)
5. 폐혈증, 균혈증, 폐렴, 피부감염
① 개발의 필요성
항생제 개발이 항생제 내성균 문제로 한계에 봉착
- MRSA, VRE, PDR…슈퍼박테리아
2050년 AMR 위험 전망
- 전세계 사망자 1,000만 명
- 경제손실 규모 11경($100 trillion)
※ 변종으로 인한 기존 항생제에 대한 내성 발생(예: MRSA, VRSA)
MRSA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메치실린계저항성 세균 황색포도상구균
개방된 상처가 있을 때, 외과적 장비를 사용하고 있거나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의 감염 위험성이 높음
VRSA
(Vancomycin Resistant S. aureus)
반코마이신저항성 세균 황색포도상구균
내성기전으로 D-Ala-D-Ala 잔기의 변형체인 D-Ala-D-Lac, D-Ala-D-Ser을 만들어 반코마이신 작용을 감소시킴
당뇨나 신장질환 등의 기저질환이 있을 때 위험이 높으며 중심정맥관 등을 보유하고 있을 때 반코마이신 투여 중인 사람들에게 발생 위험이 높음
* MRSA, VRSA은 법정감염병으로 의료관련 감염병 ‘다제내성균 6종’ 내 포함
② MRSA, VRSA 감염 치료제 개발 현황
실험 1
메치실린계 및 반코마이신 저항성 황색포도상구균을 타겟으로 하는 재조합 엔도라이신 연구 설계
도메인 셔플링(재조합)을 통해 신규 엔도라이신 확보 실험 결과
Design of Recombinant endolysins
Recombinant PCR을 통한 신규 Endolysin(LB-SAL00) 유전자 확보
Design of Recombinant endolysins
Recombinant PCR을 통한 신규 Endolysin(LB-SAL00) 유전자 확보
선정된 신규엔도라이신 SAL-09의 농도별 항균활성도 연구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LB-SAL09
용해 활성의 시간 경과
* 고농도일수록 빠른 항균 활성 보임
빠른 항균 속도를 보여주는 동영상
왼쪽: liquid media
오른쪽: S. aureus+ LB-SAL09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LB-SAL09
용해 활성의 시간 경과
* 고농도일수록 빠른 항균 활성 보임
빠른 항균 속도를 보여주는 동영상
왼쪽: liquid media
오른쪽: S. aureus+ LB-SAL09
주사제로 개발하기 위한 세포 독성(좌측)과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우측) 실험 결과
- 세포 독성 및 용혈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결과
세포 독성
Cytotoxicity assay of LB-SAL09 in a Huh7 cell line. Cells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B-SAL09 for 24hr
(Huh7 세포주에서 LB-SAL09의 세포독성 분석
→ LB-SAL09 100ug/ml~200ug/ml 농도
모두에서 세포독성 없음)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
Hemolytic activity of LB-SAL09. RBCs were incubated with PBS or LB-SAL09 at 37℃ for 1 h, and hemolysi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supernatant at 570 nm. 0.1% of Triton X-100 was used as the hemolysis control agent.
(RBCs를 PBS 또는 LB-SAL09와 함께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 용혈활성은 570 nm에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적혈구 100% 용혈을 위한 실험 대조구로는 Triton X-100을 0.1% 사용)
세포 독성
Cytotoxicity assay of LB-SAL09 in a Huh7 cell line. Cells were incub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B-SAL09 for 24hr
(Huh7 세포주에서 LB-SAL09의 세포독성 분석
→ LB-SAL09 100ug/ml~200ug/ml 농도
모두에서 세포독성 없음)
적혈구에 미치는 영향
Hemolytic activity of LB-SAL09. RBCs were incubated with PBS or LB-SAL09 at 37℃ for 1 h, and hemolysi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of the supernatant at 570 nm. 0.1% of Triton X-100 was used as the hemolysis control agent.
(RBCs를 PBS 또는 LB-SAL09와 함께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 용혈활성은 570 nm에서 상등액의 흡광도를 측정/적혈구 100% 용혈을 위한 실험 대조구로는 Triton X-100을 0.1% 사용)
온도별·시간대별 세균 생존율 실험 결과
“Decrease in bacterial viability after the addition of LB-SAL09 (1.0 µM) at different temperature”
(온도별 LB-SAL09 (1.0 uM)을 첨가한 후의 세균 생존율 감소 여부 확인)
*Negative control : 개발물질 미처리로 세균 생존
리드 발물질 처리시 20~40도에서는 세균이 사멸하나 50도 이상에는 개발물질의 변형으로 세균 생존
→ 사람의 체온은 약 36.5도이므로 주사제 개발에 문제 없음
Decrease in bacterial viability after the addition of LB-SAL09 (1.0 µM) at different time lengths
(시간별 LB-SAL09 (1.0 uM)을 첨가한 후의 세균 생존율 감소 여부 확인)
*시간대별 세균의 수를 측정한 것으로 10분 후 세균 전부 사멸
“Decrease in bacterial viability after the addition of LB-SAL09 (1.0 µM) at different temperature”
(온도별 LB-SAL09 (1.0 uM)을 첨가한 후의 세균 생존율 감소 여부 확인)
*Negative control : 개발물질 미처리로 세균 생존
리드 발물질 처리시 20~40도에서는 세균이 사멸하나 50도 이상에는 개발물질의 변형으로 세균 생존
→ 사람의 체온은 약 36.5도이므로 주사제 개발에 문제 없음
Decrease in bacterial viability after the addition of LB-SAL09 (1.0 µM) at different time lengths
(시간별 LB-SAL09 (1.0 uM)을 첨가한 후의 세균 생존율 감소 여부 확인)
*시간대별 세균의 수를 측정한 것으로 10분 후 세균 전부 사멸
환자로부터 분리한 항생제 내성 임상분리주에 대한 항균활성 실험 결과
-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에 모두 효과 있음 (좌측)
- 내성균주에 대한 효과 용량 실험 결과 (우측)
MRSA 임상분리주를 대상으로한
Overlay spot assay
다양한 황색포도균주에 대응하는 LB-SAL09의 최소억제농도 및 최소살균농도
MRSA 임상분리주를 대상으로한
Overlay spot assay
다양한 황색포도균주에 대응하는 LB-SAL09의 최소억제농도 및 최소살균농도
S. aureus 전신감염 mouse model을 이용한 LB-SAL09의 유효성 확인
실험 2
〔실험군〕Experimental group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infected C57BL/6 mouse model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감염 실험군 C57BL/6 마우스 모델)
1 The bacterial cell suspens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CCP 14754 was administered on the skin wound (5 x 106 CFU/10 μL/wound, once; Day 0).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RSA, Tegaderm film (3M Co., USA) was covered over the wound area and sealed.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NCCP 14754의 세균 세포 현탁액을 피부 상처 부위에 투여(5 x 106 CFU/10 μL/상처, 1회, 0일차), MRSA 투여 후 테가덤 필름(미국 3M사)을 상처 부위에 덮고 밀봉
2 Treatment was administered on each wound from experimental day 0 to day 6, daily once.
실험 0일째부터 6일째까지 각 상처에 매일 한 번씩 치료를 시행
3 The novel microbial drug was given by LysinBio corp. (Korea). Each treatment of 50 μL was administered on the skin.
새로운 미생물 약물은 라이신바이오(한국)에서 제공, 50μL의 각 처리가 시행
〔평가항목〕
체중 변화량 (피부감염)
창상 크기 변화량 (피부 감염)
창상 부위 MRSA, 정량평가 (피부 감염)
❶ 체중 변화량 (실험일 동안의 마우스의 무게)
실험군(Infected+Drug)에서 정상에 가까운 체중으로 복원
* Asterisk indicate group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Infected’ group.
(별표는 ‘감염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그룹을 나타냄)
•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로 표현)
• Different lowercase superscript letter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ithin the same experimental day. (p-value < 0.05).
(서로 다른 소문자 대문자는 동일한 실험일 내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p-값 < 0.05))
❷ 창상 크기 변화량(실험일 동안의 상처 크기 변화)
실험군(Infected+Drug)에서 상처 크기 감소
* Asterisk indicate group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Infected’ group.
(별표는 ‘감염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그룹을 나타냄)
•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데이터는 평균 ± 표준 편차로 표현)
• Different lowercase superscript letters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ithin the same experimental day. (p-value < 0.05).
(서로 다른 소문자 대문자는 동일한 실험일 내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p-값 < 0.05))
• The values from day 1 to day 6 represent the magnitude of the change for data of day 0, thus the data on day 0 was presented as N/A (Not Available)
(1일차부터 6일차까지의 값은 0일차 데이터의 변화 크기를 나타내므로 0일차 데이터는 N/A(사용할 수 없음)로 표시됨)
장출혈성 대장균(EHEC: Enterohemorrhagic E. coli)는 HUS 유발 위험으로 기존의 항생제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새로운 기작의 신규 항생제가 필요한 실정임
장출혈성 대장균(EHEC)
시가(Shiga) 독소를 생성하는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에 의하여 출혈성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용혈성 요독증후군(HUS)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킴
감염병 구분: 제2급 법정 감염병
(구. 1군 법정 감염병)
5세 이하 어린이의 경우 HUS 진행 시 치명률 높음
* 용혈성 요독증후군(HUS)
독소가 혈류를 타고 혈관 내피 세포를 침범하여 발생
전체 환자의 약 10%
급성신부전: 25%에서 만성 후유증(소아 신부전의 가장 큰 원인)
사망 혹은 말기 신장병 발생 위험 12%
※ (참고) 장출혈성 대장균 발병 사례
유럽에서 22명이 사망하고 2,200명 이상이 감염된 대장균 집단 발병사태 발생
최소 10개국에서 사례가 발생하였고 600명 이상이 중환자실에 입원
* 처음에는 스페인에서 재배된 오이를 원인으로 조사했으나 검사결과 스페인산 오이에는 위험 균주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독일의 한 농가에서 채취한 콩나물을 검사 했으나 첫 번째 검사에서는 오염이 발견되지 않음 → 농가에 막대한 피해
안산 유치원생 햄버거 섭취 후 전체 원생 184명 중 100명 식중독 증상, 이중 14명 햄버거병 증상, 5명은 투석 치료
* 햄버거의 덜익힌 소고기나 오염된 채소 등을 섭취하여 발생(주로 여름철 발생)
* 세계적으로 매년 환자 2만명 발생, 200명 사망
② 개발 현황
EHEC 처치를 위한 eLBP system 개발
실험
〔실험군〕Experimental groups of E. coli O157 infected C57BL/6 murine model
(대장균 O157 감염 C57BL/6 쥐 모델 실험군)
1 The mice were given 5 g/L of streptomycin ad libitum for 3 days to deplete facultative intestinal flora, which allowed easily infection of E. coli O157. Water bottles were placed everyday with freshly prepared water. 쥐들에게 통성 장내 세균총을 고갈시키기 위해 3일 동안 스트렙토마이신 5g/L를 임의로 투여하여 E. coli 0157의 감염이 쉽게 되도록 함(물병은 매일 새로 준비한 것으로)
2 Each pre-treatment were given by LysinBio corp. (Korea). Each pre-treatment were administered orally using a gastric sonde once daily for 1 week. 각 전 처리는 1주일 동안 매일 한 번 위음향을 사용하여 경구 투여(by 리신바이오)
3 The bacterial cell suspension of E. coli O157 was prepared and administered orally using a gastric sonde (1.5 x 1010 CFU/200 μL/mice, once daily for 3 days). After the infection of E. coli O157, mitomycin C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at a dose of 0.25 mg/kg to the infected mice three time every 3 h starting from 18 h after oral inoculation of E. coli O157. 대장균 O157의 세균 세포 현탁액을 준비/3일에 한번씩 경구 투여, 대장균 O157 미토마이신 C 감염 후 0.25 mg/kg의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 감염된 쥐에게 O157 대장균을 경구 접종한 후 18시간부터 3시간마다 세 번씩 투여
4 Each treatment were given by LysinBio corp. (Korea). Each treatment were administered orally using a gastric sonde once daily for 2 weeks. 각 치료제를 2주 동안 매일 한 번씩 경구 투여(by 리신바이오)
〔평가항목〕
생존율
분변 내 E. coli O157:H7 정량 평가
마우스 체중 평가
주요 장기 변화 여부
- 간 중량 측정, 비장 중량 측정
혈액검사
❶ 생존율
Endolysin secretion system을 섭취한 실험군(Drug C)에서 기존 항생제 섭취 실험군 이상의 생존율 확인
<‘Body weight’ of dead mice on End-point of Experiment>
(* 실험 종료 시점에서 죽은 쥐의 체중)
Endolysin secretion system을 섭취한 실험군(Drug C)에서 유의적으로 체중이 증가됨을 확인
❹ 주요 장기 변화 여부
E. coli O157:H7 감염 시 간과 비장의 크기는 shiga 독소분비 등의 이유로 병리학적으로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남.
Endolysin secretion system을 섭취한 실험군(Drug C)에서 간과 비장의 중량은 non-infected 실험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
<‘Liver weight’ of dead mice on End-point of Experiment>
(* 실험 종료 시점에서 죽은 쥐의 간 무게)
<‘Spleen weight’ of dead mice on End-point of Experiment>
(* 실험 종료 시점에서 죽은 쥐의 비장 무게)
❺ 혈액검사
Endolysin secretion system을 섭취한 실험군(Drug C)의 경우, 비감염 실험군과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유사한 혈액검사 결과 수치가 확인됨.
시장 규모
AMR(Antibiotic microbial resistance, 항생제 내성) 항생제 시장
AMR(항생제 내성) 박테리아 감염 항생제 개발 이슈와 감염성 질병 증가로 성장세 전환
차세대 슈퍼 항생제 연구 개발 집중
*출처: InsightAce Analytic, 2022
<전세계 AMR항생제 시장 규모 및 전망>
*출처: InsightAce Analytic, 2022
〔참고 1〕 AMR 감염증 병원 내 감염 유형 사례
〔참고 2〕 미국 내 AMR 감염증 환자 발생 사례
파이프라인의 적응증별 전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① eLBPs
② 엔도라이신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시장규모 및 전망
① 글로벌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매출
2023년 기준 801.4억 달러를 기록
2028년까지 연평균 12.2% 성장하여 1,422.6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② 글로벌 비만 치료제 매출
2023년 66.8억 달러를 기록
2028년까지 연평균 48.4% 성장하여 480.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 GLP-1약물(인크레틴 호르몬 유사체)의 기존 및 신규 승인, 동종 최초의 잠재적 블록버스터 등의 영향으로 예측 기간 동안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 2023년 기준 기업별 매출을 보면, Novo Nordisk가 전체시장의 90.4%를 점유, EliLilly가 2.6%, Haleon 2.5%, Rhythm Pharma가 1.2%를 점유하고 있음.
수익모델
국내 외 사업화 전략
(스타트업으로서) 기초연구부터 의약품 승인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는 전통적인 제약 기업과 달리 비임상 단계부터 국내 제약사 또는 글로벌 빅파마로의 기술이전을 통해 수익 창출
CASH COW 확보 전략
사업구조가 취약한 R&D 회사의 한계를 넘기 위해
❶ 인체용 신규 항생제 개발과 더불어 빠른 시장 진입이 가능한 가축대상 항생제 대체제 개발 및 사업화
❷ 보조사료(미생물제), 유기태, 당사 플랫폼 기반 기능성 화장품 등의 개발 및 사업화 진행
가축 대상 의약품(항생제 대체제), 생균제 사업화, 인체용 의약품 대비 빠른 시간 내에 개발 및 사업화 가능 ❶ eLBP 플랫폼 기술 기반 다양한 세균성 질환에 대한 제품 다각화
(예: 가금티푸스, 대장균증 등) ❷ 기 보유 중인 유익균, 유기태 생산기술 적극 활용 ❸ 단기간 내에 제조 및 유통·판매망 구축 가능
<참고> 캐시카우를 위한 MOU 체결
사업 성과
국내 및 해외 진출
① 국내
대한뉴팜㈜과 전략적 제휴를 통한 국내시장 진출
향후 가금류 뿐만 아니라 양돈 및 축우 대상 품목으로 확대
❶ 지분투자, ❷ 리신바이오 eLBP 기반 항생제 대체재 등 핵심 분야 공동 연구, ❸ 마케팅
② 해외
싱가포르 제약회사인 ‘자이로닉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축산용 항생제 대체재 개발 추진
❶ 리신바이오 eLBP 기반 항생제 대체재 등 핵심 분야 공동 연구, ❷ 마케팅
※ 자이로닉스 측에서 가금티푸스(살모넬라 갈리나룸) 제품 생산 관련하여 멕스코 Bachoco사 및 브라질 BR사에 제안
당사는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는 타겟하는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 감염증 치료를 위한 박테리오파지 유래 고활성 재조합 리신단백질을 개발 중에 있으며 본 팁스과제 프로그램을 통해서 프로바이오틱스균주를 활용한 리신단백질의 ‘세포 표면 발현 기술’ 및 ‘세포외분비 발현 기술’ 확립을 통해 가축(닭) 사업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가금티푸스 원인균인 S. gallinarum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하고
리신단백질을 장내에서 유익한 활동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의 표면에 display 하거나 혹은 분비할 수 있게 제작하는 기술이며 최종 제작된 재조합 균주를 직접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임. 이는 가축 및 인간의 장내 세균성 감염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living medicine으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 개발임
국책과제 선정(BIG3)
① 과제 개요
주관부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명: 엔도라이신 단백질의 미생물 표면 및 외부 발현 시스템을 적용한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치료용 synthetic biotics 개발
개발기간: 2022.8~2024.8
정부지원 과제금액: 5.7억원
결과: 완료
② 내용
장출혈성 대장균을 비롯하여 장내에 문제를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을 처치하기 위해 기존의 항생제를 처방할 경우 문제의 병원균 외에 인체에 유익한 세균까지 죽이는 문제를 갖고 있음. 하지만 당사의 박테리오파지 유래 리신단백질의 경우 타겟하는 세균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장점 및 차별성을 갖고 있음
또한 당사가 개발하고자 하는 장출혈성 대장균 처치용 치료제의 경우 경구용으로 개발을 목표하고 있음. 기존 단백질 의약품들이 경구용으로 개발이 어려웠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당사 연구진은 ① 미생물 세포 표면에 장출혈성 대장균 처치용 리신단백질을 노출시키는 전략과 ② 미생물 세포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2가지 전략을 통해 재조합 미생물(치료제)을 경구로 투여 됐을 때 세포 외로 충분히 노출되거나 혹은 배출됐을 때 리신단백질이 타겟하는 균주를 직접적으로 처치할 수 있도록 개발함
본 사업을 통해 단순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기술이 아닌 장내에 문제를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균 처치를 위한 경구용 치료제 개발과 더불어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대장염), 자가면역질환, 바이러스, 백신개발 등 다양한 치료제 개발을 위한 platform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
국책과제 선정(TIPS 창업사업화)
① 과제 개요
주관부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명: 항생제 내성균을 저해하는 GRAS 미생물 기반 living medicine 개발
개발기간: 2022.7~2023.4
정부지원 과제금액: 0.7억원
결과: 성공 판정
② 내용
당사는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는 타겟하는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 감염증 치료를 위한 박테리오파지 유래 고활성 재조합 리신단백질을 개발 중에 있으며 본 팁스과제 프로그램을 통해서 프로바이오틱스균주를 활용한 리신단백질의 ‘세포 표면 발현 기술’ 및 ‘세포외분비 발현 기술’ 확립을 통해 가축(닭) 사업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가금티푸스 원인균인 S. gallinarum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하고
리신단백질을 장내에서 유익한 활동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의 표면에 display 하거나 혹은 분비할 수 있게 제작하는 기술이며 최종 제작된 재조합 균주를 직접 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로 개발하고자 하는 것임. 이는 가축 및 인간의 장내 세균성 감염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living medicine으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 최초 개발임
국책과제 선정
① 과제 개요
주관부서: 재단법인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 스타트업타운 디브릿지 지원사업)
기술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다제내성항생제 개발 및 IP 분석
개발기간: 2022.9~2021.11
정부지원 과제금액: 0.4억원
결과: 성공 판정
② 내용
당사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국유특허(농촌진흥청 보유)에 대한 기술사용을 위한 기술 도입 등에 사용할 계획임
또한 당 사업기간 내 연구 개발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복수의 특허를 출원할 예정이며 L/O와 관련된 중요 특허 출원과 해당 특허 등록 시 일부 특허를 특정하여 본 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IP를 획득하였음을 대내외 홍보할 계획임
기타 성과
향후 사업 진행 계획
방향
다양한 치료 분야로 확장 가능한 ❶ 단백질 신약 DDS 플랫폼 eLBPs 적응증 확장 및 ❷ 지식재산권 추가 확보
플랫폼별 파이프라인
향후 5개년 추정 손익
손익계산서
수익산출근거
기술 이전을 위한 파이프라인의 적응증별 수익 모델 산출 근거
* eLBPs 치료제의 기술 이전은 eLBPs의 인허가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해외기업을 대상으로 접촉
* 2018년, 인트론바이오-스위스 로이반트 간 SAL200(엔도라이신) 기술이전 계약 시 최대 마일스톤은 1조원, 계약금(Upfront)은 1,000만달러임
안녕하세요.
추가 질문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상환전환우선주는 발행일로부터 3년 후 이익 잉여금 범위 내에서 상환청구가 가능한데, 리신바이오는 2027년 후부터 기술이전에 따른 매출 급등과 이에 따른 영업이익 발생을 예상하고 계십니다. 수익산출 근거를 보면 엔도라이신(MRSA, VRSA 등) 분야에서 2027년부터 기술이전을 예상하고 계시는데, 2027년으로 예상하시는 이유(가능성)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리신바이오입니다.
먼저 저희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사는 2024년말 싱가포르 제약사 자이로닉스와 전략적 제휴 체결과 미국의 CURZA사의 협력 방안 협의 를 하고 있습니다. 논의되고 있는 파이프라인은 황색포동상구균 내성균인 MRSA/VRSA의 효과적인 내성균 슈퍼항생제입니다.
자이로닉스는 당사 물질을 이용하여 병원용 슈퍼항생제 협력을 위한 기술이전 및 투자에 관한 협의를 진행중이며, 미국의 CURZA는 당사 물질을 단독 이용 또는 병용 이용에 대한 미국 시장에 착수한 상태입니다. 아직 초기 단계지만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2027년에는 결실을 맺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귀사의 기술인 eLBPs에 비만치료제인 GLP-1을 적용한 내용으로 보이는데 전문가가 아닌 제가 보기에는 수치상으로 개발이 거의 완료된 것처럼 보입니다. 제품화를 한다면 현재 판매되고 있는 타사의 주사제보다 부담감이 덜해서 접근성이 훨씬 좋아보이는데 혹시 제품화 계획이 있으신지 아니면 기술이전을 할 계획이신지 궁금합니다. 혹시 제품화 계획이 있으시다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는 과정이 많이 길고 어려운지, 기간이 어느정도 소요될지에 대해서도 대략적으로나마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eLBPs에 적용된 기술들이 각각 다른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것이 신기한데, 뭔가 새로운 아이템에 대해서도 어렵지 않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리신바이오입니다.
먼저 저희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당사읲 비만치료제는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추가로 진행해야 할 연구는 PK/PD (약물동태학/약력학)입니다. PK/PD 연구가 완료되면 전임상에 들어갈 정도의 수준이 됩니다. 바이오벤처가 신약에 대한 파이널까지 가기에는 재정적인 부담이 너무 큽니다. 따라서 많은 바이오 벤처 회사들이 기술 이전을 통한 수익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희 회사도 기술이전에 때한 노력과 함께 상황에 따라 임상 진행에 들어 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임상 전단계까지 1~2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eLBP기술은 장내에서 유발되는 여러 질병(예를 들면 대장암 등)에 효과적인 적용시스템으로 아이템 확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일반적으로 의약품을 개발하는 벤처기업들의 경우 파이프라인을 1~2개정도로 정하고 집중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신바이오의 경우 내용을 봤을때 파이프라인이 다양한것 같습니다. 다양한 이유가 궁금하고 모든 파이프 라인이 의약품으로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의약품 개발의 경우 굉장히 많은 자금이 필요할테데 그에 대한 대비는 하고 계시는지와 향후 투자 유치 계획 등이 궁금합니다.
2. 개발하고자하는 아이템들이 성공을 했을때 해외 판로는 어땧게 준비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아무리 좋은 아이템, 물건이라도 판매가 돼야 할덴데 내용으로만 봤을때는 향후 판로계획이라던지 기타 해외 진출 계획 등이 나타나 있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리신바이오입니다.
먼저 저희 프로젝트에 지대한 관심을 보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1. 모든 파이프라인이 의약품으로의 개발이 아니고, 가축용 항생제 대체제, 화장품 소재 등으로 개발 중인 아이템들이 있고, 또한 신약을 목표하는 아이템들의 경우 개발 과정에서의 전임상 혹은 임상 1상에서 기술이전이 가능합니다.
현재 보유 중인 파이프라인 모두 전혀 다른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아닌 당사가 갖고 있는 플랫폼 기술내에서 적응증 및 타켓만을 달리하여 개발을 진행 중이라 현재의 연구진으로 충분히 진행 가능한 상황입니다.
2. 국내는 매출 이천억원 이상하는 중견 제약사인 대한뉴팜(주)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한 상황입니다. 이를 위해 현재 공장 설립을 1/4분기 안에 마무리 지을 계획입니다.
해외는 전략적 제휴 업체인 싱가포르 제약사 자이로닉스를 통해 아시아 등에 당사의 제품 판매 및 기술 이전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진출을 위해 미국의 업체인 CURZA(www.curza.com)사와의 협력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CURZA사의 경우 미국내 여러 연구소 및 병원과 협력 중인 회사입니다.
기대 효과로는 1) 당사의 기술과 CURZA의 리보솜 표적 항생제 기술 융합으로 새로운 기전의 항생제 개발 가능. 2) 당사의 기술과 CURZA의 바이오필름 억제제 융합으로 기존 항생제보다 효과적인 내성균 치료제 개발. 3)공동으로 기술이전 및 라이선스 계약 가능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페이지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려봅니다^^
인체 대상의 비만치료제 ‘LB-OTG05’의 경우, 특허분쟁이 없는 GLP-1 유사체인 Exenatide를 발현하는 GRAS 미생물을 개발하여 경구용 비만치료제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국내 제약사와의 차별성이 있다고 하셨는데,
1. 특허분쟁이 없다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특허 분쟁이 없다는 건 다른 개발 회사들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인 것 같은데, 그렇다면 경쟁력에 있어서 차별화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2. 경구용 비만치료제는 약으로 복용해서 비만을 치료한다는 의미인데, 비만치료제는 보통 주사용으로 많이 개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구용 치료제는 주사용 치료제와 어떤 차별성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회사 리신바이오입니다.
먼저 저희 프로젝트에 지대한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1. Exenatide는 단일로는 현재 개발된 위고비나 삭센다 등과의 효능 비교에서 열세입니다. 당사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GRAS균(예를 들면 유산균 등)에 발현시켜 경구용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1차적인 실험 결과로는 12주만에 약 11%의 체중 감량과 약 12%의 혈당 감소 효과를 보였습니다. 위고비의 경우 1년간 위고비 복용과 함께 저칼로리 식단과 행동 요법을 병행했을 때 16% 이상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 당사의 실험 결과는 매우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유전자 재조합 방법 및 제조합 균주에 대한 특허 출원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당사만의 독자적인 기술 장벽을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
2. 말씀하신 대로 현재는 기판매되는 치료제 및 많은 회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방향은 주사제입니다. 예를 들어 위고비는 일주일에 한번 1회 주사 입니다. 국내의 펩트론을 포함하여 많은 회사들이 2주에 한번 , 1달에 한번 주사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위고비의 경우국내에서는 1펜의 가격이 약 70만원으로 보통 3~5개월 정도는 용량을 증진하면서 꾸준히 맞아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미국의 경우는 더욱 비싼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구용과 주사용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편의성입니다. 주사용은 사용자에 따라 거부감이 경구용 보다 일반적으로 더 큽니다. 그래서 많은 제약사들이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하고자 하는 방향은 식용 가능한 GRAS균을 이용하므로 일반적인 유산균 복용처럼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연구 개발에 들어 가는 비용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생산 단가는 유산균 생산 단가와 비슷하므로 가격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문의해 주세요.
본 위험고지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고만 합니다) 제117조의7 제4항에 의하여 귀하가 ㈜펀딩포유에 청약의 주문을 하기 전에 투자의 위험을 사전에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펀딩포유가 귀하에게 교부하는 것입니다.
1. 귀하는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정정)된 모집되는 증권의 취득에 따른 투자위험요소, 증권의 발행조건, 발행인의 재무상태가 기재된 서류 및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였습니다. (발행인이 증권의 발행조건과 관련하여 조기상환조건을 설정한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홈페이지를 통해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2. 귀하의 투자대상인 금융투자상품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른 “증권”에 해당하므로 원본손실의 위험성이 있으며, 청약증거금 등 투자한 자금의 원본을 회수할 수 없음에 따른 손실의 위험이 있음을 이해합니다.
3. 금번에 발행되는 비상장 증권의 발행이 한국거래소의 상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증권의 환금성에 큰 제약이 있다는 점과 예상 회수금액에 대한 일부 혹은 전부를 회수할 수 없는 위험이 있음을 이해하며, 본인은 이를 감당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4. 귀하는 시장의 상황, 제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자본시장법 등 관련법규에 근거하여 투자의 한도에 제한이 있는 경우 이를 준수하여야 함을 이해합니다.
5. 자본시장법 제117조의10제7항에 따라 전문투자자(벤처캐피탈 등)에 대한 매도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6개월간 전매가 제한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6. 정부가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해당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또한 해당 게재된 사항은 청약기간 종료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7. 청약기간 중에는 청약의 철회를 할 수 있으나, 청약기간 종료일 이후에는 청약을 철회할 수 없으며, 최종모집금액이 모집예정금액의 80%에 미달하는 경우 증권발행이 취소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8. ㈜펀딩포유는 온라인소액증권 청약과 관련하여 별도의 수수료는 징수하지 않습니다. 다만 청약증거금 이체 시 발생하는 이체수수료는 귀하가 직접 납부하여야 합니다.
9. ㈜펀딩포유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로서의 영업업무를 준수함으로써, 직접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하는 증권을 자기의 계산으로 취득하거나, 증권의 발행 또는 그 청약을 주선 또는 대리하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10. ㈜펀딩포유는 발행인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의 자격 등을 합리적이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귀하는 위 기준과 조건에 따라 청약거래에 있어 차별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위 사항들은 청약의 주문 거래에 수반되는 위험 및 제도 및 청약의 주문 거래와 관련하여 귀하가 알아야 할 사항을 간략히 서술한 것으로써 귀하의 위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위험과 중요 사항을 전부 기술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귀하는 ㈜펀딩포유 및 관계법규를 통하여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 고지서는 청약의 주문 관련 법규 등에 우선하지 못한다는 점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프로젝트와 관련된 문의사항을 남겨주세요.
· 투자회원만 문의사항을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된 문의사항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수정하지 않습니다.
· 광고, 권리 침해, 명예훼손, 욕설, 비방, 도배 등의 게시글인 경우는 운영기준에 따라 삭제 처리되거나 관련 법률에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